산사갤러리

유네스코로고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천년고찰
두륜산
묻고답하기
종무행정
불교대학
템플스테이
三災不入之處 萬年不毁之地
전쟁을 비롯한 삼재가 미치지 못할 곳으로 만년동안 훼손되지 않는 땅
HOME > 불교만남의 장 > 산사갤러리 > 산사갤러리

산사갤러리

천불전 삼불 점안식

⊙점안(點眼)이란?

 

 

<대승조성공덕경>에는 “모든 부처나 여래는 곧 법(法, 다르마)의 몸으로서 육체의 몸이 아니다(諸佛如來 卽是法性身 非色相身)”라고 하여 불자들이 형상에 집착하는 것을 경계하고, 진리에 눈 뜰 것을 강조하고 있다. 불자라면 누구나 절을 찾으면 맨 먼저 법당에 들러 부처님께 삼배를 하고, 때로는 불전에 공양물을 올리기도 한다. 부처님께서 형상에 집착하지 말라고 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우리가 불상에 경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불상을 조성하고, 법당에 모셔 예배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일종의 방편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공부하는 학생에게 학습에 도움이 되는 환경이 필요한 것처럼, 부처님 가르침을 따르는 불자들에게도 신심을 북돋아 줄 환경이 필요한 것이다. 이런 까닭에 사찰에서는 불?瓚?조성·봉안하고, 불자들은 그 불상 앞에 나아가 경배하면서 부처님 가르침을 믿고, 그 가르침에 따라 살아갈 것을 서원한다.

 

조각가에 의해 제작된 불상은 그 자체로만 본다면, 하나의 물질적 형상에 불과하다. 그러나 불상은 점안(點眼) 의식을 통해 진리의 가르침을 담은 성보로 태어난다. 새로 조성·봉안한 불상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불교 의식이 바로 점안이다. 점안은 또 개안(開眼) 또는 개광 명(開光明), 개안공양(開眼供養)이라고도 한다.

 

점안은 사찰에서 불상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의식구(儀式具)에 행하는 의례을 총칭하는 것이다. 사찰에서 행하는 점안은 불상 점안뿐만 아니라 나한(羅漢)·천왕(天王)·조탑(造塔)·불화(佛畵)·가사(袈裟) 점안 등이 있는데, 대상에 따라 의식 내용이 조금씩 달라진다. 점안 의식과 비슷한 의미로 쓰여지고 있는 봉불식(奉佛式)은 사찰에서 불상을 새로 모셨을 때 삼신불에게 생명력을 갖춘 불상으로서 증명을 받아 귀의의 대상으로 모시는 의식이다.

 

나한 점안·시왕 점안 등도 불상 점안에 준하여 행하는데. 다만 나한과 시왕이 가지는 상호(相好)의 특징에 따라 점안에 대한 발원이 달라진다. 이렇게 점안 의식이 모두 끝나면 비로자나불을 비롯한 삼신불에게 그 불상이 영험을 지니게 되었슴을 증명하는 의식인 불상증명 창불(佛像證明唱佛)로 모든 의식을  마무리한다.

 

 

탑도 조성하면 불상과 마찬가지로 점안을 하는데, 칠보함에 오색사리를 담아 탑 속에 넣어 영험 있는 탑이 되기를 빈다. 스님들이 법을 설할 때 입는 가사 또한 점안 절차를 거쳐야만 비로소 법을 설하는 권위를 얻게 되고, 부처님을 대신하여 지와 덕이 갖추어진 법의(法衣 )가 될 수 있다. 점안은 의식 자체로만 본다면 단순히 신앙의 상징물을 경배의 대상으로 격상시키는 차원으로 생각할 있다. 그러나 그 속에 담긴 뜻은 진리를 향해 가행정진하겠다는 불자들의 자기다짐이다.

 

 

 

이 게시물에 덧글을 남기세요
(다음 그림의 숫자를 입력하세요) 스팸방지 숫자 그림
주지 : 성해 법상 (性海 法祥) / 고유번호 : 415-82-06783 / 22dhs@naver.com
59047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두륜산 대흥사(頭輪山 大興寺)
종무소 : 061) 534-5502~3 / 템플스테이 사무국 : 061)535-5775 / 팩스 : 061)535-5357
Copyright ⓒ Daeheungsa.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