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보문화재_성보문화재

유네스코로고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천년고찰
두륜산
묻고답하기
종무행정
불교대학
템플스테이
다선일미(茶禪一味)법희선열(法喜禪悅)
호국정신과 법희선열의 문화가 있는 대도량
HOME > 두륜산사 > 성보문화재 > 성보문화재

성보문화재_성보문화재

[국보]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北彌勒庵磨崖如來坐像)

종류
석조/마애좌불상
지정번호
국보 제308호
지정일
2005.09.28
수량
1좌 높이 4.2m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자
대흥사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大興寺 北彌勒庵 磨崖如來坐像)

 

대흥사 북미륵암의 암벽에 조각된 고려시대의 마애불좌상이다. 높이는 420㎝으로 화강암의 북쪽 면에 불상을 새기고 목조전실(木造前室)을 건축해 조성한 마애석굴의 주존(主尊)이다.

 

연화좌(蓮花座)에 결부좌한 본존은 두광과 신광이 모두 선각으로 표현되어 있다. "원광(圓光)·후광(後光)·염광(焰光)"이라고도 한다.

부처가 갖추어야 하는 신체상의 특징인 32상(相), 80종호(種好) 중에 "몸에서 한 장(丈)이나 되는 빛을 발한다"고 하는 내용에 따라 부처의 초인간적인 면을 나타내기 위하여 부처의 몸 주위에서 나는 빛을 형상으로 표현한 것이다. ">광배는 삼중(三重)의 원으로, 두광과 신광의 밖에는 불꽃무늬(火焰紋)을 새겼는데, 그 안에 하강하는 4구의 비천상을 대칭으로 배치한 점은 특이하다.

 

비천상은 오른 무릎은 세우고 왼 다리는 꿇은 자세로, 얼굴은 위를 향하고, 왼손은 왼 무릎위에 얹고, 오른손은 지물(持物)을 들고 연화좌에 앉아 있다.

 

상체에는 고려시대 보살상에 크게 유행하는 착의법인 천의자락을 어깨에서 겨드랑이로 돌려 가슴 앞으로 묶어내리는 보살옷을 입고, 하체는 상의(裳衣)를 입었다. 이뒤로 천의자락이 휘날리고 있어서 하강하는 비천상인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

 

  본존의 머리는 소발(素髮)로 육계가 뚜렸하며, 넓적한 장방형의 얼굴은 근엄하고 풍만한 편이다. 좁은 이마에 작은 백호공(白毫孔)이 있으며, 긴 귀에 양쪽 눈꼬리는 올라갔고 눈동자가 표현되어 있으며 입술은 두껍다. 법의(法衣)는 통견(通肩)으로 걸쳤으며, 왼쪽어깨에는 띠매듭이 보이는데 이는 가사(袈裟)를 묶는 띠로서, 어깨 뒤쪽의 고리에서 어깨로 내려와 팔꿈치에 까지 닿았다.

 

이 가사띠는 승려초상화에 흔히 표현되고 있는 것으로 불상의 경우는 8세기 중엽에 조성되었다고 추정하는 경주 남산 용장사장륙미륵존상, 강원 철원에 있는 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到彼岸寺鐵造毘慮遮那佛坐像:국보 63)의 밀집의(密集衣)무늬와 같은 수법이다. 어깨가 넓고 건장하여 양감(量感)이 있는 상체에 비해 하체의 표현이 빈약하며, 수인(手印)과 발 등의 세부묘사도 부자연스럽다.

 

대좌에는 앙련(仰蓮)의 연꽃무늬가 간결하게 새겨져 있다. 전체적으로 유려한 수법이 아직도 남아 있어 당시의 거불군(巨佛群)을 대표하는 우수한 작품이며 고려시대 조각의 특징을 보여주는 불상으로 중요하게 평가된다. 상호(相好)와 각부의 조각수법을 보아 11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이 마애불을 벽체로 한 목조전실의 명칭이 용화전(龍華殿)으로 되어 있어 미륵불로 불리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주지 : 성해 법상 (性海 法祥) / 고유번호 : 415-82-06783 / 22dhs@naver.com
59047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두륜산 대흥사(頭輪山 大興寺)
종무소 : 061) 534-5502~3 / 템플스테이 사무국 : 061)535-5775 / 팩스 : 061)535-5357
Copyright ⓒ Daeheungsa.co.kr All rights reserved.